공부하는가비
2021.04.30 Oracle Network 본문
oracle network 설정
-오라클과 클라이언트 서버에 각각 oraclenet 이 필요
원격 접속시
-Server 쪽에 필요한 것 listener : listener.ora(리스너 구성파일)
접속 수신 역할
server process생성 및 접속 요청 전달
-Client 쪽에 필요한 것 tnsname.ora(어떤 DB에 접속을 요청할 것인지)
네트워크 관리 도구
Oracle Enterprise Manager
Listener Control Utility (리스너의 시작과 종료)
Net Configuration
Net Manager : 네트워크 구성파일 편집 도구 (listener
(Listener제외 나머지는 파일 편집이나 구성으로 사용)
network 접근방식
-2-tier 방식 (C/S)
Tns를 각자 가지고 있을 때(정보를 가지고 있다)
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직접 통신하는 방식
관리자의 부담 증가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 방식
ex) 사내 프로그램
-Local Naming
[oracle@localhost admin]$ sqlplus hr/hr@mydb
-> tnsnames.ora (서버에 접속할 정보 사용)
가장 보편화된 방식
-EZconnect
아무것도 설정하지 않음 (구성파일 X)
conn hr/hr@localhost.localdomain:1521/orcl
잘 사용하지 않는 방식
주소 노출 포트 노출
Dedicated Server(전용서버) : (별다른 설정하지 않는다면)
하나의 프로세스 하나의 클라이언트
클라이언트가 전용서버와 직접적으로 통신하지만
shared서버는 직접적으로 통신하진 않는다
자기가 접속한 세션 정보 자기만 갖는다
명령 처리가 빠르다
but , 놀고 있는 process 가 생기면 resource 낭비가 발생
Shared Server(공유서버) :
하나의 프로세스 다수 공유(1023)
반드시 함께 써야하는 process -> Dispatchers
유저가 접속을 요청하면 Dispatchers 로 접속됨
SGA메모리에 Request Queue안에 요청 순서대로 넣는다S
Server Process 순차적으로 처리
결과 반환시 Response Queue 사용 (결과 User Process에게 반환)
conn hr/hr - > local , 리스너 통하지 않음 ,Dedicated Server
conn hr/hr@mydb -> Dedicated Server, Shared Server
sqlnet.ora
DataBase Link :
'개발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1.05.04 Oracle PL/SQL , Oracle Pakege (0) | 2021.05.04 |
---|---|
2021.05.03 Oracle Storage Structures/User Security (0) | 2021.05.03 |
2021.04.29 Oracle (0) | 2021.04.29 |
2021.04.29 Oracle (0) | 2021.04.29 |
2021.04.28 Oracle Startup & Shutdown (0) | 2021.04.28 |